
핵융합에너지
07년9월 우리나라 에너지분야 미래를 책임질 장기프로젝트 “핵융합에너지 기술 개발”이 연구시설 완공과 함께 본격화되면서 부각된 한국형 핵융합장치(KSTAR) 관련 종목군. 인공태양으로도 불리는 핵융합장치는 태양이 빛을 내는 원리인 핵융합반응을 지상에서 인공적으로 일으켜 핵융합에너지를 얻는 장치임. 국내 기술로 개발된 초전도 핵융합장치인 KSTAR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약 12년간 주장치 완공 후 2008년 7월 최초 플라즈마 발생에 성공하였음. 이후 종합적인 성능 검증을 마치고 2009년 9월 본격 가동에 들어감으로써 2025년까지 약 17년간 플라스마 운영을 통한 핵융합에너지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음.

모비스
거대과학시설(Big Science) 분야에서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EPICS 기반 초정밀 특수제어 시스템 및 장비 공급. 핵융합 사업(CFS, CIS, MCS-CPSS 등)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2012년 9월 국내 최초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중앙제어시스템을 수주한 바 있음.
고려제강
와이어로프, 경강선, PC 강선 및 강연선, 비드와이어 등 각종 선재 제조 및 판매업체. 차세대 핵융합장치에 사용되는 첨단 초전도선재 개발.
비츠로테크
플라즈마응용, 진공상태 초정밀접합,특수공정 설계등을 이용하여 각종 프로젝트 납품 등 특수사업을 영위하는 비츠로넥스텍을 자회사로 보유. 플라즈마기술을 이용하여 핵융합반응을 일으켜 핵융합에너지를 얻는 KSTAR프로젝트사업에 참여했으며, 초고온의 플라즈마로부터 토카막 내부의 장치를 보호하는 PFC 등을 제작.
일진파워
핵융합 핵심 원료인 삼중수소 취급 기술 보유.
다원시스
특수전원장치 사업부문(핵융합전원장치 등), 플라즈마 사업부문(플라즈마전원장치 등), 전동차 사업부문(철도차량 등), 전자유도가열 사업부문(전자유도가열장치 등)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특히, 핵융합전원장치는 국가핵융합연구소 주도로 추진하고 있는 KSTAR사업과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공동개발사업에 공급.
삼화콘덴서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핵융합 관련 핵심부품(전력의 역류를 방지해 효율화를 극대화 시키는 SVC시스템) 생산.
두산에너빌리티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 부품 생산에 참여.
에스에프에이
세계 최대의 핵융합 시스템 구축 사업인 ITER 프로젝트 관련 핵심 개발을 수행 등 핵융합 사업 진행.
'공부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사진 동영상 사이트 픽셀즈(Pixels) (0) | 2023.08.24 |
---|---|
<기업분석>디아이테크놀로지 (0) | 2023.08.08 |
<기업분석>카프로 (0) | 2023.08.07 |
스마트팩토리관련주 (0) | 2023.08.05 |
<기업분석> 원익피앤이 (0)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