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부정책을 살펴보면 충족조건에 기준 중위소득이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인지, 퍼센트 계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준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말합니다.
대한민국 국민의 총 가구의 월 세전 소득을 조사하여 오름차순으로 배열한 뒤 정확히 중앙에 있는 값이 중위소득입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1인가구 207.8만원, 2인가구 345.6만원, 3인가구 443.5만원, 4인가구 540.1만원, 5인가구 633.1만원, 6인가구 722.8만원입니다.

2024년은 중위소득이 상승하여 1인가구 222.8만원, 2인가구 368.2만원, 3인가구 471,4만원, 4인가구 572.9만원, 5인가구 669.5만원, 6인가구 761.8만원입니다.
기준중위소득 퍼센트별 계산
급여별 선정기준 교육급여는 중위 50%, 주거급여는 중위 48%, 의료급여는 중위 40%, 생계급여는 중위 32%입니다.

중위소득 100%는 1인가구 222.8만원, 2인가구 368.2만원, 3인가구 471,4만원, 4인가구 572.9만원, 5인가구 669.5만원, 6인가구 761.8만원입니다.
100%를 기준으로 120%일 경우 100% 값에 1.2를 곱하면 되고, 150%는 1.5를 곱하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을 알고 있으면
기타 퍼센트별 중위소득
계산이 용이합니다.
반응형
'공부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현금화하는 방법 (0) | 2023.09.18 |
---|---|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이자 알아보기 (0) | 2023.09.13 |
모임통장 카카오뱅크 토스 케이뱅크 금리 등 비교 (0) | 2023.09.13 |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혜택,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9.12 |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 금리, 대출방법,서류제출 (1) | 2023.09.06 |